소스 관련 Application 소개
트래픽의 행동패턴 분석 = hotjar
트래픽 유입 및 유입후 다이나믹 메세지
즉 Email Marketing Provider (EMP) 와 온사이트 리타게팅 어플리케이션
= ConvertKit & ConvertFlow
트래픽의 움직임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의 통합 및 자동화 = Zapier
데이터 중앙화 및 리얼타임 대쉬보드 = slack
홈페이지 트래픽의 분석 및 시각화 = Google Analytics & Google Data Studio
Hotjar를 이용한 홈페이지 유입 분석
hotjar 혹은 beusable 은 UX데이터 분석 혹은 사용자의 행동패턴툴이다. 둘 다 유사한 기능을 갖고 있음
heatmap 메뉴를 많이 클릭한다 등 클릭에 대한 것을 볼 수있음
recording 홈페이지에 들어온 소피자의 행동을 처음부터 끝까지 레코딩함
conversion funnel(전환 퍼널) 처음부터 끝까지 퍼널구조화해서 소비자가 어디로 유입되었는지 이탈하였는지 확인
Feedback poll survey 는 보통 잘 사용하진 않음
hotjar을 많이 사용하는 이유는 heatmap이나 recording이 가장 중요한 기능이기 때문.
특히나 캠페인의 시작이나 홈페이지를 새로 만들었을 때 소비자의 행동패턴 등을 알아보기위한것이 히트맵, 레코딩.
feedback이나 survey 등을 잘 사용할 수도 있겠지만 잘 사용하지 않는 것.
heatmap
히트맵은 홈페이지의 클릭과 관련된 내용을 볼 수있는데 클릭이 많은 부분은 붉게 표시가 되어있다.
그리고 스크롤의 경우엔 어디까지 소비자가 관심있게 스크롤을 내리는지를 확인할 수있음
이것을 보고 적절하게 중요한 정보를 잘 배치해 놓을 수있음.
(만약 페이지가 길다면 위에서 혹은 중간쯤에서 중요한 것을 노출하거나 혹은 맨 밑에까지 연결하는 엥커바를 만들어 놓을 수도 있는 거고)
* 매일매일 이것을 보는건 불가능하기 때문에 캠페인을 시작하고 바로 보거나 혹은 새로운 이벤트가 처음 진행될 때(예를들어 홈페이지를 처음 만들었을 경우) 사용하는것이 좋다. 왜냐하면 이미 소비자가 적응이 된 사이트인 경우 일반적으로 그들이 어떻게 움직이는지 알기 때문에 사이트를 사용할 필요가 없는데 처음 진행될 경우에는 에러가 날 수도 있고 드랍율이 많을 수있기 때문. 이럴 경우 홈페이지의 어느 부분에서 에러가 나는지를 recording을 통해서 확인할 수있기 때문에 이 사이트에 들어온 소비자들의 행동을 recording을 통해 따라가면서 확인할 수있다.
이 사이트의 code를 홈페이지의 뒷부분에 넣으면 바로 행동패턴을 확인할 수있다.
EMP ConvertKit 을 이용한 트래픽 소스 만들기
이메일 마케팅에 사용하는 사이트는 GetResponse, Aweber, mailchimp, converKit, Stibee 등이 있는데
convertKit이나 Stibee를 주로 사용하는게 괜찮더라.
ConvertKit의 Sequence?
메일을 보내는 방법 중 하나
미리 써놓은 메일이 하나씩 나가는 것
예를들어 홈페이지에 누가 들어왔음. 이메일과 이름을 쓰면 뉴스레터가 나간다고 팝업이 뜬다.
소비자가 이메일과 이름을 쓰고 버튼을 클릭했을 때 바로 관련 메일한통이 도착(greeting email 등)하고 며칠 간격으로 미리써놓은 메일을 받는다.
- automation = drip = 자동메일 = autorespond
Broadcast 캠페인 메일, 뉴스레터 등
시의성이 조금 있는 어떤 캠페인(홍보)메일임
"오늘까지 50% 할인합니다. " 등등
- campaign mail = newsletter
*campaign URL builder 사용하면 캠페인을 유알엘로 만들어사용가능함.
'마케팅 > GROWTH'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그로스해킹이 왜 중요할까? 🤔 – 모든 비즈니스가 주목하는 이유 (0) | 2025.02.06 |
---|---|
그로스해킹이란? 🤔 적은 비용으로 빠르게 성장하는 마케팅 전략! (2) | 2025.02.04 |
인사이트를 얻는 방법(팔로잉,책),그로스해커와 그로스마케터의 차이점 (0) | 2020.03.13 |
그로스마케팅 케이스 예시 (0) | 2020.03.03 |
그로스 마케팅에 대한 이해 정리- 개념 (0) | 2020.02.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