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로스 마케팅에 대한 이해 정리- 기본개념
Growth marketing
Buffer's T-shaped marketer framework
T자형 인재
특정분야에 전문적인 자질 (세로측)
폭넓은 교양 (가로측)
전통적인 마케터들은 어땠을까?
마케팅이란 16세기에 사전에 처음 등장했고
시장에서 매매하는 과정, 판매와 광고에 중점을 둔 생산아제서 소비자에게 상품을 이동시키는 과정으로서
현대적 정의는 19세기 후반에 처음으로 사전에 등장하게 되었다.
결국, 마케팅은 판매와 광고에 초점을 맞춘 단어이다.
전통적 마케터 = 광고+판매에 초점
현대
애플 스티브잡스
"마케팅은 가치에 대한 것이다. 인지도,브랜드에 가까운 것."
제이 배어
"마케팅은 메세지 혹은(그리고) 액션을 유발하는 메세지 혹은(그리고) 액션이다. "
액션 = 판매
결국, 전통적인 마케팅이란
알리고/판다.
알려서 우리가 만드는 상품을 판다.
매켈러의 퍼널공식(AAARRR 매트릭스)
전통적인 마케팅은
Awareness와 Acquisition
인지도와 전환(클릭,임프레션 등등) 위주
현대 디지털마케팅은
Awareness, Acquistion
+ Activation, Retention(재방문), Revenue(매출), Referral(확장성을 위한 지인소개 혹은 바이럴)
결국 Growth marketing이란
전통적인 방식인 알리는데서부터 세일즈까지만 머무르지않고 확장성까지 생각할 수있는 마케팅방법
Growth marketer로서 필요한것은?
Data Driven 사고방식 : 데이터로 말해주는대로 가설을 세우고 캠페인을 진행
Creative 창의성. 남들과 다른 창의성을 갖고있으면 기술이 받쳐주지 않아도 큰성공을 얻는다.
따라서 국내외 마케팅 사례를 꾸준히 확인하고 공부할 것.
Failling by Design
실패에 대한 두려움이 없어야하고 처음부터 성공할 수는 없으니까 실패와 스터디를 계속해야한다. 그러다보면 성공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결국 감이 아닌 데이터적 사고방식, 크리에이티브함, 여러 테스트를 거치면서 성공에대한 최적화를 이뤄낸다.
Growth marketing vs Growth hacking
Growth hacking그로스해킹
1965년 growth의 탄생. 경제용어
테오도르 레빗의 product life cycle
developement 제품개발
introduction 소개
growth 성장
maturity 성숙
decline 거품이 꺼짐
2008년 경제적으로 좋지않았지만 숀 앨리스와 파일 공유어플리케이션 dropbox와 손잡아 growth hacking이라는 말이 생겨남.
2010년 growth hacking 단어
fast company, next web 등에 소개
andrew chen 블로그에서 "Growth hacker is the new VP(vice president) marketing."
Growth hacking이란?
한국에서도 이제 스타트업 뿐만이 아니라 큰규모 조직에도 실행하고 있음
"브래드베설 왈
A single great idea or system or both."
그로스해킹의 예)
핫메일 닷컴에서 시그니쳐부분에서 링크를 통한 확장성
페이팔은 처음에 가입하면 10달러를 주는 것
드롭박스는 지인을 소개할 때마다 500메가씩 추가됨
토스는 친구 소개하면 돈을 조금씩 주는 것
에어비엔비도 친구 소개로 돈 주는 것도
크레그 리스트(필요한정보-직업,렌트구할때를 올리는 홈페이지)는 에어비엔비에 등록된 내용을 API로 가져와서 사용한 경우
Leverage(지렛대) '조그마한 인풋'으로 큰 결과를 도출하는 것을 의미
Funnel(깔데기) 레버리지를 위한 퍼널로
AIDAL(Awareness, Interes,Desier , Action, Loyalty)과 전에서 살펴보는 AARRR의 구조가 있다.
그로스해킹 과정
Goal(목표설정)
object K result(OKR), North star metrics 북극석매트릭스)
- Growth lever (성장수단
예) 핀터레스트가 처음만들어졌을 땐 초청받은 사람만 가입시킨다던지 혹은 페이팔은 가입자들에게 10달러씩 준 것 등등
즉 사람을 모으는 수단.
- data gathering(데이터를 모으는 과정)
-ideate (아이디어를 만들어냄)
-prioritize (최우선화)
-test
-analyze
-ideate - prioritize - test- analyze .....
그로스팀
많은 스타트업에서는 그로스팀이 있음
Product manager 고객경험의 모든 로드맵을 짜는 사람 (판을 짜는 사람)
Engineer 아이디어가 나온 내용을 가지고 실제로 제품을 만들수있는 사람
"Marketer 퍼널구조를 짜는 사람 마케팅 행동을 보여줄수있는 사람"
Analyst 인사이트를 모아서 결과값 리포트하는 사람으로서 마케터나 디벨로퍼들에게 전달하여실제적으로 행동을 보여줄 수있는 사람
Designer 시각화 하는 사람
차이점을 알아보자!
Drew housman said
"그로스해커는 특정한 문제를 전문적인 컨설턴트처럼, 빠르게 해결한다. 그들은 적은 비용으로 심각한 문제를 창의적으로 해결하는 것을 찾는 직무이다. 그로스해커에게 "스피드는 모든것"이다. 그리고 문제들은 어제 풀려져있어야한다. "
"그로스마케터는 "긴 시간의 접근성"을 가지는 경향이있다. 그들은 여러방면에서 성장지수를 높일 수있는 지속가능한 방면을 전략화해야한다. "
이 강의로 우리는
Data 수집 및 분석
Traffic 유도 (트래픽을 모을 수있는 방법-non paid 위주로)
통합화, 자동화
이메일 마케팅 (심도있게 체크)
쿠키기반 온사이트 리타게팅
세일즈 퍼널 만들기
를 해서 실전에 접목할 내용을 공부할 수있을것이다!
'마케팅 > GROWTH'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그로스해킹이 왜 중요할까? 🤔 – 모든 비즈니스가 주목하는 이유 (0) | 2025.02.06 |
---|---|
그로스해킹이란? 🤔 적은 비용으로 빠르게 성장하는 마케팅 전략! (2) | 2025.02.04 |
그로스해킹 관련 어플리케이션 (hotjar,EMP convertkit,heatmap) (0) | 2020.03.13 |
인사이트를 얻는 방법(팔로잉,책),그로스해커와 그로스마케터의 차이점 (0) | 2020.03.13 |
그로스마케팅 케이스 예시 (0) | 2020.03.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