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케팅/PERFORMANCE

퍼포먼스마케터의 역량

2020. 2. 18. 20:09
728x90
반응형
반응형

* 스터디를 개인적으로 러프하게 정리한 것이기 때문에 매끄럽게 읽히지 않을 수있습니다.

필요에 의한 위키피디아 내용 또한 포함되어 있습니다.

 



3. 퍼포먼스 마케터의 역량

 

퍼포먼스 마케터가 갖춰야할 역량 이해 

퍼포먼스마케팅이란? 
디지털 미디어를 활용(디지털매체 이해)하여 
타겟고객에게 회사가 원하는 메시지를 (메세지 전달력) 
생성 전달하고 그 성과를 추적 및 최적화하여 (뭔가의 기술) 
측정가능한 비즈니스 성과를 만들어내는 것. (또 어떤 역량??) 

역량 1 
각각의 디지털 채널에 대한 이해와 채널 특성에 맞춰서 나의 비즈니스 상황에 맞는 채널을 적절히 섞어 활용하는 것이 중요. 

<채널에 대한 이해> 
다양한 owned, paid, earned media가 있는데 이것들의 속성과 활용방법을 잘 알아야한다. 

구글 검색  
검색? 검색 키워드는 기업의 의도를 잘 보여주기 때문에 정교화된 메세지를 타겟에게 보낼 수있다. 
그러나 유저가 입력했을 때에만 광고를 노출시킬 수있기 때문에 매우 정교하게 타겟팅된 유저와 커뮤니케이션할 수있지만 물량을 무한정 늘리는데는 한계가 있다. 

페이스북 등 SNS 
지인들의 소식을 알고, 최근 동향을 파악하기 위해서 사용. 
페이스북 유저에게 원하는 만큼 원하는 물량을 전달할 수있다. 검색광고보다는 훨씬 많이 도달과 노출이 된다. 

Moloco (DSP)  
페이스북을 통해서 기업의 메세지를 충분히 전달하지만 도달,노출에 한계가 있을 수있다. 이렇게 한계가 있을 때 사용하는 채널이다. 

Criteo(리마케팅채널) 
특정 유저가 특정 페이지에 접근했을 때 유저가 이 상품에 흥미를 가지고있다는 것을 깨닫고 유저가 어느 페이지를 가더라도 자꾸만 쫓아다니면서 광고가 보여지는 것이 리마케팅이다. 그래서 광고의 효과가 높고 ROAS가 높게 된다. 
대신 잠재고객이 기업의 상품을 본 이후에만 그 고객에게 광고가 따라다니기 때문에 상품을 모르는 고객에게는 적용될 수없는 단점이 있다.  

Tapjoy(인센티브채널) 
게임서비스를 사용할 때, 예를들어 '지금 다운받으면 보석을 구매하면 몇 %할인합니다.'같은 것. 
CPI단가를 고정할 수있고 물량을 빠르고 쉽게 뽑아낼 수있다. 

 

구글검색, 피드광고, 피드광고, 리마케팅광고, 인센티브광고 모두 속성이 다르고 계속 새로운 채널이 생겨난다. 
따라서 퍼포먼스 마케터는 전반적인 채널의 이해를 해야하고 잘 활용해야한다. 

역량 2 
< 데이터수집/분석능력> 
측정가능한 비즈니스 성과를 내야하기때문에 데이터를 어떻게 수집하고, 어떤 데이터를 수집할지, 어떻게 조합하고 분석할지, 어떤 의미를 찾아갈지가 중요하다. 

데이터 수집 툴 
Google Analytic 360 
MMPs 
Query 같은 툴로 데이터 수집/분석을 잘해야한다. 

역량3 
<A/B test 및 퍼포먼스의 지속적인 개선> 
나머지 변수는 동일하게 맞춰놓고 특정 변수만 2가지 옵션으로 나눠서 테스트하는 것. 
예를 들어 동남아에서 캠페인을 할 때, 이미지가 좋을지 동영상이 좋을지에 대해서는 마케터가 잘 모르기 때문에 두가지로 나눠서 테스트한다. 

예를들어 이메일마케팅의 경우 
이메일을 월요일 아침에 보낼지, 주말에 미리보내놔서 오래된 이메일부터 보기때문에 그렇게 보내는게 좋을지. 
이럴 땐 메세지등을 동일하게 맞추고, 날만 다르게 보낼수도 있고 

여러 채널 중 TV광고와 검색광고 두개를 트는 것 혹은 피드광고와 검색광고 트는것으로 두가지 상황이 어떻게 다를지에 대해서 비교할 수있다. 

즉, 앞으로 퍼포먼스마케터로서 측정가능하고 변화를 줄 수있는 모든 가능성을 찾아서 계속해서 퍼포먼스를 좋게 개선하는 활동이 중요하다.

 

역량 4 
<경험에서 나오는 직관을 통한 더 빠른 최적화> 

처음 퍼포먼스마케터가 되면 사실 비교해볼수있는 지표가 없기때문에 A/B test를 할 종류가 많다. 그러다보면 광고 비용과 시간이 많이 흘러가기 때문에 마케터의 경험이 부족하면 좋은 마케팅을 하기까지 오랜 시간과 비용이 발생한다. 
따라서 성공사례를 많이 보면서 경험이 쌓이면 어느정도 직관이 생길거고 이 부분은 ABtest를 해봐야한다 등 감이 어느정도 생긴다. 
따라서 경험을 많이 쌓자. 

채널의 이해, 경험은 단번에 생기는게 아니다. 
성공사례와 채널에 대한 학습, 업데이트가 계속해서 필요하다. 꾸준히 업데이트해서 좋은 마케터가 되자.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