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케팅/PERFORMANCE

퍼포먼스마케팅 개론

2020. 2. 15. 16:37
728x90
반응형
반응형

 

 

데이터분석 툴은 다룰줄 아는 것이 R, 그것도 초급이라 실무에 적합한 강의는 없을지 찾아보다가 마침내 알게된 곳이 패스트캠퍼스였다. 이미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는 페이지인것같았고 비즈니스와 관련된 강의도 다양하게 있어서 이곳이라면 마케팅 실무와 퍼포먼스마케팅과 관련된 것을 배울수있겠구나 싶어 백수(는 나)가 가지고있는 얼마 되지 않는 재산을 투자하였다.

클래스101에 데이터분석가 과정 강의도 신청해서 3월부터 시작하는데 패스트캠퍼스의 강의 올인원 퍼포먼스 마케팅과 그로스마케팅 두 개의 강으도 신청했더니 공부할 양은 많겠지만 내가 해야할 일이라면 꼭꼭 씹어서 머릿속에 가득가득 넣어버리리..

오늘은 수강신청을 하고 처음 강의를 들은 날이다. (글 쓰는 날은 2020.02.15) 그래서 오늘 내가 배운것을 정리해볼까 한다.

 

 

** 스터디를 개인적으로 러프하게 정리한 것이기 때문에 매끄럽게 읽히지 않을 수있습니다.

필요에 의한 위키피디아 내용 또한 포함되어 있습니다.


 

1. 퍼포먼스마케팅 개론 - 1, 2

 

마케팅?

판매행위를 어떻게 구성하고 전달할것인지에 대한 모든 일련의 행위

 

마케팅 프레임워크 1

 

STP 시장 세분화(Segmentation), 표적 시장 선정(Targeting), 위상 정립(Positioning)의 첫자를 딴 마케팅 전략중 하나이다. 제품 범주와 소비자 욕구에 근거하여 동질적인 여러 고객집단을 나누고 경쟁 상황과 여러 자원을 고려하여 가장 자신 있는 시장을 선정한다는 것이 주요 내용

 

Segment : 수많은 마켓 중 시장을 세분화

Targeting : 정확히 공략해야하는 하나

Positioning : 소비자들에게 우리의 벨류가 어떻게 다른지에 대해 설명하는 것. (즉, 고객에게 인식 되고자 하는 이상향으로 기업의 제품과 이미지가 인식되도록 설계하는 마케팅의 과정)

 

마케팅 프레임워크 2

 

4P Product : 상품의 기능, 브랜드, 패키징, 서비스 등 상품의 포지셔닝을 정하는 것

Price : 상품 가격, 할인폭, 결합 상품, 할부 등

Promotion : 광고, 세일즈, PR활동, 판촉행사 등

Place : 온라인 채널, 오프라인 채널 등 상품을 어느 채널을 통해서 판매할지. 같은 상품도 채널이 바뀌면 가격, 재고관리, 유통 관련 내용도 바뀜. 결국, 마케팅은 비즈니스의 다양한 부분을 커버하고 있다. 즉 판매행위를 어떻게 구성하는 전달할지에 대한 모든 일련의 행위(제품, 유통 포함) 그러나! 퍼포먼스 마케팅은 가격, 브랜드, 기능을 정하는 것까지 하지는 않는다. 사회가 발전하고 롤이 세분화 되면서 각각의 영역이 나뉘어지고 있다. 직업과 롤의 세분화로 마케팅의 롤은 조금 더 좁은 영역이 되었다. 일반적으로 소비자와 커뮤니케이션을 해서 상품을 알리는 것이 마케팅이고

product부분은 프로덕트 매니져의 롤, 판매는 세일즈의 롤, PR은 전담 PR의 롤이 형성 되었다. 따라서 우리가 말하는 마케팅은 '소비자와 직접적으로 커뮤니케이션하는 것'이라고 생각하기로 한다.

 


마케팅, 디지털 마케팅?

과거의 커뮤니케이션은 주요 매체(TV,라디오, 신문)로 고객들과 일방적인 커뮤니케이션을 했지만 현대에는 디지털 미디어들이 많이 생겼고 그러한 다양한 채널로 고객들과 커뮤니케이션을 하게 되었다.

 

디지털미디어?

 

1. Owned Media

내가 소유하고 있는 디지털 미디어 기업들의 홈페이지, 페이스북 페이지, 트위터 계정, 기업 공식 블로그 등

특징 : 이러한 미디어는 소비자들은 자주 방문하지 않으나 일단 고객이 들어왔을 땐 다양한 이야기와 깊이 있는 이야기를 할 수있다. 예를 들면 삼성전자 홈페이지.

 

2. Paid Media

돈을 지불하고 사는 미디어 모든 광고 영역

특징 : 돈을 지불한다는 전제하에 넓은, 판매자가 원하는 타겟층에 대규모로 접근할 수있다. 예를들어 네이버의 첫 면.

 

3. Earned Media

소비자들이 볼 수있지만 판매자가 관여할 수없는 미디어 소비자들의 블로그, 후기글, 게시판 댓글 등

특징 : 중요한 역할을 하는 미디어 소비자는 이 미디어에 가장 영향을 많이 받는다. 잘 동작 할 경우에 신뢰를 얻기가 좋다. 그러나 메시지 콘트롤을 하기가 어렵다. 상황에 따라서 다양한 미디어를 잘 사용하는게 중요하다.

 


 

디지털 미디어를 사용 한 마케팅 사례

 

1. 이메일 마케팅 Owned media의 중요한 사례 많은 기업이 소비자의 이메일 주소를 많이 받고 있는데 이메일을 통해서는 비용 없이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이메일은 사진, 긴 글, 동영상 등 기업에서 원하는 메세지를 자세히, 높은 빈도로 소비자에게 전달할 수있다. 그러나 많은 기업들이 이용을 하기 때문에 소비자들에게는 스팸메일이 될 수도있다는 것..

2. 검색 광고 검색창은 뉴미디어의 일종 소비자가 검색한 검색어와 관련된 상품을 판매하는 기업들이 사용하는 광고 사람들이 많이 사용하는 검색창에 돈을 지불하고 광고를 올림

3. 배너 광고 포털의 첫화면 등 과거엔 명품브랜드는 전문지 혹은 소비력이 높은 사람들이 보는 잡지에 광고가 노출되었으나 현대에는 미디어소비가 늘어났기 때문에 온라인으로는 상품을 판매하지 않았던 명품도 온라인 광고를 하고 있다.

 


사회 발전과 마케팅 요소들의 진화 판매 채널을 생각해보면 2000년대 초반에만해도 물건을 사려면 오프라인에 가서 구매했어야 했다. 그러나 어느순간부터 온라인 쇼핑몰들이 늘어나게 되면서 많은 물건들을 온라인으로 구매. 과거에는 물리적인 물건을 중심으로 소비가 일어났다면 현재는 실제 물건이 아닌 경험, 콘텐츠 등을 소비하는 경제모델이 생겨나고 있다. 물건의 판매 방식이 바뀌고 있기 때문에 마케터들 또한 마케팅전략을 새롭게 바꿔야한다.

 


 

 

디지털 마케팅의 발전

 

과거에는 소비자들에게 디지털 채널을 통해 커뮤니케이션을 하는 것만 디지털 마케팅이라고 생각했으나 현대에는 결과로서의 매출 까지가 디지털 마케팅의 영역으로 넘어오게 되었다. 과거에는 온라인을 통해 상품을 알렸고 오프라인에서 물건을 구입하는 등, 광고를 보여줬으나 매출을 추적하고 측정하기는 어려웠다. 그러나 현대에는 광고를 온라인에서 알렸고 광고를 통해서 상품을 구입하거나 경험을 구입했을 경우에 매출을 추적하고 측정하기가 쉽다. 따라서 디지털 퍼포먼스 마케팅이란!! 디지털 미디어를 활용해서 우리가 원하는 타켓고객에게 우리가 원하는 메시지를 생성 전달하고 과거에는 전달하고 끝이었지만 이제는 그 성과를 추적할 수있으니 추적하고 어떻게 하면 그 성과가 좋을지 최적화 하여 측정 가능한 비즈니스 성과(매출)을 만들어 내고 선언하고 알릴 수있는 것.

 

그럼 이것도 퍼포먼스 마케팅일까??

 

1. 샤넬의 네이버 배너 광고

고가 브랜드는 온라인으로 판매하지 않는다.

광고를 클릭한 사람이 오프라인에서 물건을 구입했다고해도 이 사람이 판매자는 광고를 보고 구입했는지 다른 매체를 통해서 구입하러 온건지 파악하기 어려우니 광고를 통한 매출측정이 어려워 퍼포먼스 마케팅이라고 부르기 어렵다.

따라서 브랜드 마케팅이다.

 

2. 빅맥 네이트 배너광고

케이스마다 다르다.

예를들어 쿠폰번호가 적혀있어서 오프라인 매장에 찾아와서 쿠폰번호를 말하고 구매했다면 기업은 광고비용도 알 수있지만 쿠폰번호를 통해서 입력한 사람들의 수를 통해서 정확히 광고를 통한 매출을 측정할 수있다. 이렇다면 퍼포먼스마케팅이라고 할 수있다. 그러나 그렇지 않으면 퍼포먼스 마케팅이라 할 수없다.

 

3. 구글 폭스바겐 검색광고 과거에는 온라인에서는 브랜딩만 했다. 그러나 현대에는 검색광고를 통해 신청받은 시승하는 것 자체를 비즈니스 벨류가 형성하고(시승한 사람의 몇 %가 구매를 할지에 대한 내용) 이를 통 몇 건의 시승이 광고를 통해서 진행되었는지 알 수있으니 퍼포먼스 마케팅이라 할 수있다.

 


마무리

 

퍼포먼스 마케팅이란 디지털 매체를 이용해서 우리가 원하는 고객을 정교하게 타겟팅 하고 고객에게 회사가 원하는 메세지를 전달하고 그게 얼마나 잘 전달되었는지 성과를 추적하고 최적화해서 반복하고 그 결과적으로 얼마의 비즈니스 성과(매출)를 만들어 냈는지를 확인하는 것이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