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스트캠퍼스] 컴퓨터활용능력 1급 정리 - 3
3. 컴퓨터 일반 - 응용 소프트웨어의 분류, 운영 체제의 운영 방식,
네트워크, 정보 통신망의 유형
응용 소프트웨어의 분류
1) 상용 소프트웨어
일정금액 지불하여 '구매'하는 것
2) 공개 소프트웨어
소스 '공개' 자유롭게 사용 소프트웨어
3) 쉐어웨어
일정 기간이나 '기능 제약'을 두고 프로그램을 사용한 후 '"구입 여부 판단"'하는 소프트웨어
4) 프리웨어
사용 기간이나 기능 제한 없이 '무료로 배포',복사 가능 소프트웨어
5)애드웨어
소프트웨어 자체에 '광고를 포함'하여 대가로 무료로 사용하는 소프트웨어
6)베타버전
개발사가 프로그램 공개 전에 '테스트 목적'으로 공개하는 소프트웨어
7)데모버전
상용 소프트웨어 "기능을 알리기 위해" '사용 기간이나 기능에 제한두고 무료로 배포'하는 소프트웨어
8)테스트버전
데모버전 이전에 "프로그램 문제찾기" 위해 무료배포
9)번들 프로그램
끼워팔기.
10)패치프로그램
프로그램이 팔렸는데 "문제가 생겼을 때 오류수정 및 기능향상을 위해 프로그램 일부 파일을 변경"하는 소프트웨어
11)디바이스 드라이버
"새 하드웨어를 추가로 설치할 때 새 장치를 인식"하기 위한 설치 프로그램
운영 체제 운영 방식
1) 일괄처리 (batch processing)
일정기간 모아서 한꺼번에 처리 시스템
2) 실시간 처리(Real Time)
자료 즉시 처리하여 사용자 입력에 바로 응답할 수있는 시스템
3) 시분할 처리(Time sharing)
CPU의 처리시간을 나누어서 여러개의 작업 연속적으로 처리하는 시스템
4)분산처리(distributed)
여러개 컴퓨터를 통신망에 연결해서 작업과 자원을 분산처리.
5) 온라인 : 컴퓨터 직접연결
6) 오프라인 : 컴퓨터 회선 없이
7) 듀얼
2개의 CPU 하나의 업무를 "동시에" 처리.
결과를 상호 점검하다 기계고장으로의 작업 중단에 대비하여 미리 두대의 컴퓨터를 설치한 후 한대는 항상 대기상태에 있도록.
그니까 걍 모니터 두갠데 CPU가 하나인거라 생각하셈
8) 듀플렉스 (2대의 컴퓨터) 공간의 차이가 있다.
한쪽의 CPU가동중일때 다른 한쪽의 CPU가 고장나면 즉시 대기중인 CPU가 작동되도록 운영.
9) 임베디드
일반 PC가 아니라 보드에 반도체 기억소자에 응용프로그램을 탑재,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두개를 결합시킨 상태. PDA같은 경우
10) 다중 프로그래밍
하나의 CPU에서 여러가지 프로그램들을 처리하는 방식.
프로그래밍을 여러개한다.
하나의 CPU가 여러개일을 한다.
11) 다중 처리
동시에 프로그램 수행할 수있는 CPU를 두개 이상 두고 업무 분담처리
여러개의 CPU가 여러개 프로그램을 한다.
12) 클러스터링
두대 이상 컴퓨터를 마치 한개의 시스템처럼 사용.
**주의 듀플렉스와 다르다.
듀플렉스는 한개가 죽으면 다른 한개가 일을 처리하지만
클러스터링은 한개의 시스템처럼 사용되는거다.
IPv6 인터넷 프로토콜 버전 6
IP 주소라고 이야기함.
고유한 주소를 부여하는데 처음에 IPv4가 나왔었는데 당시 이걸 만들땐 갯수가 부족할거라 생각 못했는데 기하급수적으로 부족현상이 일어나서 IPv6가 출현하게 된것.
IPv4를 4배 확장.
**128비트를 16비트로 8개로 나누어 표시
주소의 한 부분이 0으로만 연속되는 경우 연속된 0은 콜론으로 생략할 수있음
실시간 흐름 제어로 향상된 멀티미디어 기능과
**보안기능을 기원하며 전송속도가 빠르다.
**IP주소의 부족현상을 해소하기 위한 차세대 주소 체계
**IPv4와 호환성이 높다.
네트워크 연결 장비
라우터 : 네트워크의 꽃
네트워크에서 "최적의 경로를 배정"한다.
영화를 집에서 다운받으려고 클릭하고 데이터를 받는데 사용자의 수에 따라서 데이터를 빨리 받을수도있고 느릴수도있다.
게이트웨이 : "서로 다른 네트워크" 및 프로토콜간 연결 사용장치
브리지
"동일한 네트워크, 프로토콜 사용하고있는 다른 랜과 상호접속(연결""시키기위한장치
리피터
"신호를 증폭"하여 장거리로 정보를 전달할 때 사용
전압을 높여 전송
허브
여러 컴퓨터나 "기기를 연결"하기 위한 장치(ex; 공유기)
더미허브(연결만 가능),
스위칭 허브(라우팅 개념이 담겨있는 허브)
OSI 7계층 중 물리 계층에 사용
모뎀
아날로그를 디지털로, 디지털을 아날로그 신호로 바꿈
정보 통신망의 유형
1) 버스형
하나의 선에 여러대의 컴퓨터가 연결 된 상태
가장 간단한 형태이지만 확장성이 편리
2) 스타형
가운데에 큰 컴퓨터가 있고 나머지가 연결되어있음
중앙 컴퓨터가 고장나면 전체 통신망 마비
3) 트리형 (분산처리형)
하나의 회선에 여러대의 단말기가 연결되고 아웃 노드에 계속해서 연결되어있음
4) 링형
서로 인접한 노드끼리 둥글게 연결된 형태
양방향 전송 가능
두 노드 사이의 채널이 고장나면 전체 네트워크가 손상
5) 매시형
모든 단말기들이 그물모양의 회선으로 연결
장거리 전송에 적합
응답시간이 빠르고 하나의 통신회선에 장애가 발생해도 다른 곳에 영향을 크게 미치지 않음